헥헥헥, 일주일 만에 세권 끝냈다.
그리고 예스24에서 한 스무권 질렀으니까 앞으로 한 두달간은 도서관 출입을 금지해야 해.
그렇지 않으면….그렇지 않으면….
………….내 방엔 더 이상 상자를 쌓을 곳이 없다고! ㅠ.ㅠ
[안 읽은 책은 방에 놓아 두었다가 읽고 나면 거실로 가져다 내 놓는 스타일]
1. 윈터 앤 나이트:
어라, 이거 수작일세.
비록 전반적인 플롯과 분위기는 어설픈 느와르에 완벽한 헐리우드 영화긴 하지만 마을과 그곳에 사는 인물들에 관한 묘사가 상당한 사실감을 준달까. 캐릭터들의 설정도 꽤 취향이었음. 무엇보다, 두 남자가 대립하는 장면이 나올 때마다 귀가 따가울 정도였어. 이 정도로 이입시키면 아주 훌륭하지.
항상 생각하는 건데, 리디아라는 이름은 확실히 동양계를 연상시킨단 말이야. 그것도 중국계. 이유가 뭐지?
푸에르토리코 쪽이나 흑인들이 선호하는 이름이 있는 건 아주 확연하고,
동양계가 연상되는 이름이 존재한다는 건 영화나 책에서 계속 비슷한 이름을 사용하기 때문인걸까, 아니면 실제로 자신의 이름과 발음이나 의미가 비슷한 영문 이름을 채택하면서 그런 식의 인상을 주는 걸까? 흐음.
2. 폭스 이블 :
………..시작은 거창했는데.
아니, 중간도 꽤 거창했는데.
음모가 별 게 아니야. ㅠ.ㅠ 엄청나게 강력한 캐릭터를 설정해놓고 거기에 음모도 괜찮게 설정해 놓았는데, 결말에서 캐릭터에 비해 음모의 연결고리가 너무 초라해져버리니 약간 김이 빠져버리는군. 게다가 뭐지, 이 “아름다운 결말”은? 아니, 뭐 이정도로 악의가 풀풀 넘치는 소설이라면 이런 해피엔딩에서 카타르시스를 느껴야 하는 게 정상이지만.
여하튼, 중반까지 모든 인물들이 풍기는 무력함과 악의 때문에 머리가 지끈거릴 정도였음. 하지만 나름 여러 문제들을 뒤섞어 보여준다는 게 소소한 재미랄까. [그것도 매우 영국적인 문제들] 이것이 실생활과 연결되어 있는 저쪽 독자들이라면 훨씬 흥미를 느낄 수 있을 듯.
……….교육이란 중요한거야, 암.
“진실을 배반한 과학자들” 시작.
하도 소설만 줄창 읽어댔더니만 서문은 졸립더라. 그래도 본문으로 들어가고 나서부터는 낄낄거리며 보고 있음.
아아, 나약한 인간들이여.
크립토노미콘을 보면서 참으로 피곤하더군…
저는 리디아라는 이름을 들으면 무조건 ‘V’의 금발 외계인 여자가 생각나요…; 그게 그 이름에 대한 첫인상이었나 봅니다.
윈터앤나이트하고 폭스이블 둘다 재밌게 읽었지요.. 아마 공짜로 받은 책이라 더재밌…(퍽) 아무튼, 윈터앤나이트는 책을 읽어보면 원래 그 탐정 아저씨 시리즈가 있는 듯 한데 달랑 하나뿐이라 기분이 이상했어요. 답답한 마을 분위기가 상당히 실감났었는데.
루크님! 슷하 456 상영회 한대요 ;ㅁ; 하루에 몰아서
http://happysf.net/zeroboard/zboard.php?id=reader&no=6283
theadadv/ 어려운 부분은 걍 넘어가.
Needel/ 첫 인상이란 강하니까요. 전 엘리자세스라는 이름은 금발이 생각나요.
夢影/ 저도 공짜로 읽었지요. 으핫. 아, 저도 ‘윈터 앤 나이트’는 다른 시리즈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만, 리디아와의 관계를 빼면 빌의 과거는 대부분 드러난지라 많이 아쉽지는 않았습니다. 이제 리디아를 좀 더 설명해준다면 좋겠는데 말이죠. 전 마을과 아이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솔직히 소름이 좍 끼쳤어요.
금숲/ 헉, 이, 이런……ㅠ.ㅠ 우웅…3편 연속 상영이라니, 가고 싶긴 한데 SFWAR는 사이트는 좀 무서운 지라….쿨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