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부분은 제대로 된 디스토피아 소설이라서 오, 생각보다 의외인걸,
하고 읽기 시작했는데 읽으면 읽을수록 “작가 이 미친놈아” 소리가 절로 나온다.
그렇군. 정말 팬질을 이렇게 할 수도 있구나.
이건 집착을 넘어서, 뭐라고 해야 하나.
이걸 옮긴 역자가 불쌍해질 지경이었어. ㅠ.ㅠ
그런데 확실히 스토리 자체에 긴박감이 있어 페이지가 술술 넘어가서
정신을 차리고 보니 마지막 챕터에 와 있었다.
그 정도만으로도 훌륭하지 않은가.
나보다 앞선 세대이긴 해도 내게 익숙한 레퍼런스도 많아 낄낄거리며 읽을 수 있었고.
아르테미스와의 이야기는 굳이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하는 조금 사족처럼 느껴지긴 하는데
작가와 주인공이 그림으로 그려놓은 듯한 오타쿠를 기반으로 한다는 걸 생각하면
일종의 메타라고도 여길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넘어갈만 하다.
다만 그놈의 ‘일본문화’에 대한 인식마저 정말 어디다 내놔도 비웃음을 살만한 ‘서양 오타쿠’ 그 자체라… 일본 캐릭터가 나올 때마다 정말 죽는 줄 알았다. 작가여, 주변에 일본계 미국인이 한 명도 없단 말이냐. 내지는 현대 일본 문화도 전혀 찾아보지 않았단 말이냐. 어떻게 그 부분까지 80년대에서 단 한 치도 업그레이드가 안 되어 있는 거지.
끝부분에 카타르시스는 좋았는데 마무리는 미흡하다.
거기서 끝나는 거야? 아니 정말, 여기서 끝난 거냐고?
그럴려면 홀리데이의 마지막 메시지 왜 넣은 거야.
아니 물론 그 주인공이 메시지를 듣고 스위치를 팍 끈다! 고 결정한다면 오히려 캐릭터 붕괴가 맞긴 하겠지만. 그래도 “아, 잘 놀았고, 생각해볼만한 윤리적 메시지도 넣었으니 다 이루었도다.”의 느낌이 강해서 조금 어리둥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