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부터 언론을 다룬 영화는 늘 내 로망이었다.
그런 점에서 스필버그와 메릴 스트립과 톰 행크스의 조합은 넘어갈 수 없는 영화임이 분명하고.
1971년 뉴욕 타임즈의 “펜타곤 페이퍼” 보도 사건을 둘러싸고
경쟁사로 떠오르고 있던 워싱턴 포스트와 여성 사주인 캐서린 그레이엄에 관한 이야기.
언론의 본분이란 무엇인가, 라는 사회적인 주제를 현 트럼프 정권 하에서
시의적절하게 다루는 것은 물론
시대극으로서도 흠잡을 데가 없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그 중심에 브래들리가 아닌 그레이엄을 세움으로써
여성주의적인 시각까지 포섭했다.
리들리 스콧도 그렇고 스티븐 스필버그도 그렇고
거장들은 가끔 중간에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났을 때
녹슬지 않은 기량은 물론
특히 이제는 무엇보다 진지한 이야기를
어깨에 힘을 빼고도 부담스럽지 않게 전달할 수 있다는 데 감탄하게 되는데
특히 이 작품을 “레디 플레이어 원”을 촬영하는 도중에 완성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지난 수십년 동안 사교계와 가정에 충실했던 여성이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면서도 짙은 양복을 입은 사내들에게 둘러싸여 주눅들어 있다가
자신의 목소리를 찾은 후
비록 플래시도 없고 주목은 덜 받을망정 아무렇지도 않게
계단을 내려와 선망의 눈빛을 지닌 여성들을 헤치고 돌아가는 장면에서 정말 펑펑 울었다.
신문을 인쇄할 활자를 뽑고, 윤전기가 돌아가고, 지하에서 기계가 돌면 위층이 흔들리고,
대기하고 있던 트럭들이 신문을 실어나르는 장면이 너무 아름다워서 울컥했다.
미학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맥나마라의 말처럼 이마저 ‘역사적 연구 자료’로 남긴 것 같은 느낌이라.
여러 모로 생각할 부분이 많아
다시 보고 싶은 영화다.
극장에 오래 걸려 있지는 않을 것 같으니 꼭 보러가시길.
그리고 극장을 나오는 순간 “대통령의 사람들”을 보고 싶어질 것임.
내가 그랬다.
덧. 주 각본가인 리즈 한나는 여성으로 85년 생. 일이 진행되면서 “스포트라이트”의 각본가도 참가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