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 3를 처음 볼때부터 느낀 것입니다만, 파드메의 임신 소식을 들었을 때, 아나킨은 참 기묘한 미소를 짓습니다. 헤이든 군의 연기 탓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긴 했으나, 문득 과연 아나킨이 자신이 아버지가 된다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였을지 궁금하더군요.
우선, 두 사람은 소위 “금단의 사랑”을 하고 있으며 아이의 아버지가 아나킨이라는 사실이 드러날 경우 두사람은 불이익을 당하게 됩니다. 그 점에 있어서, “불안함” 혹은 “우려”라는 감정의 표현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당혹감” 역시 마찬가지죠. [개인적으로 그때 아나킨의 반응은 당혹 쪽이 제일 크다고 봅니다.] 그러나, 아나킨은 과연 자신이 말하는 것처럼 아이들을 “축복”으로 받아들였을까요?
의구심이 듭니다. 오히려 그는 자식을 부담스럽게 생각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위에서 말한 이유는 차치하고라도, 그에게는 이미 지켜야할 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특히 그에게 있어 파드메는 인생의 전부인 고로, 오히려 파드메와의 사랑을 방해하는 방해물로 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부 남성들은 자식에게 질투를 느끼기도 한다고 하더군요.] 초기 설정 가운데 아나킨과 파드메가 함께 아이의 이름을 짓는 장면도 있다고 들었지만, 영화 전반적으로 볼 때, 아나킨이 아이를 언급하는 장면은 단 한군데 뿐입니다. 그의 애정은 파드메와 자식이 아니라, 자식을 밴 파드메에게 쏠려 있는 것이죠. [출산 시 옆에 있었고 계속 자녀들을 옆에서 지켜보며 키웠더라면 달랐겠습니다만…..]
생각을 조금 발전시켜보면, 이는 스타워즈 전반을 꿰뚫고 있는 “부자관계”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 같군요.
스타워즈는 사람들의 의식 속에 깊이 박혀있는 신화를 근간으로 한 것이며, 소위 말하는 오디푸스 컴플렉스와 관련해 부자 관계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남녀 차이에 관한 이야기는 우선 빼죠.]
어떤 신화에서건 아버지는 아들이 극복해야하는 대상입니다. 아버지는 권력을 의미하며, 아들이 진정한 성인이 되기 위해서는 아버지와 동일화를 추구하거나, 혹은 아버지를 제거해야만 하지요.
평범한 제다이의 경우, 그들은 아버지와의 동일화를 추구합니다. 먼저 그들에게는 핏줄로 이어진 가족관계가 없고, 제다이라는 틀 안에서 가족관계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그 안에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구별이 없습니다. 제다이 카운슬이 아버지의 역할을 대변한다고 해도, 제다이 템플 그 자체는 어머니를 대변합니다. 일종의 셸터, 즉 소속감과 안정감을 지속시켜 주기 때문이죠. 마스터와 파다완의 관계는 부자관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모자[모녀] 관계이기도 합니다. 그들에게 있어 마스터는 극복의 대상이라기보다는 동경이나 동일화의 대상입니다. [에피 2에서 아나킨에게 ‘아버지’와 같았던 오비완은 ‘친구’로 변화합니다.]
시스, 아니 팔파틴은 확실히 “살부”를 통해 그 지위에 이른 인물입니다. 그들은 기본적으로 힘을 추구하기 때문에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스승을, 권력을 의미하는 아버지를 타파해야만 합니다. 어찌보면 팔파틴은 그야말로 ‘정도’를 따른 셈이죠. 그것은 아나킨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는 결국 황제를 죽인 후에야 비로소 어른이 되며, 아버지로서 완성됩니다. [베이더는 어려요, 어려…ㅠ.ㅠ]
가장 흥미로운 건 루크인데[개인적 감정이 무지막지 묻어난다는 사실도 감안해서] 그에게는 사실 ‘아버지’라고 부를 사람이 없습니다. 오웬과 베루는 확실히 셸터를 마련해주기는 했지만, 친부모가 아니라는 점에서 권력이나 넘어서야 할 “이상의 존재”가 아닙니다. 오히려 어머니의 의미에 가깝죠. [루크는 얼굴도 모르는 아버지에 대해 동경을 품고 있습니다] 거기다 편리하게도, 루크가 살부의 감정을 결심하기 전에 다른 사람이 살해해줍니다. 벤의 경우도 마찬가지죠. 사실상 루크에게 있어 가장 아버지에 가까운 인물은 벤 케노비인데, 그 역시 아버지로서의 완전한 관계를 발전시키기 전에 스스로를 희생함으로써 무대에서 퇴장합니다.
결국 루크가 극복해야하는 대상은 친아버지, 반대편에 선 베이더로 밝혀집니다. 루크는 베이더와 대결을 해야만 제다이로서 완성될 수 있고, 이는 곧 그가 아버지를 능가해야만 아들의 자리를 물리치고 아버지의 자리를 얻을 자격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시금 루크가 시스와 제다이의 중간형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겠군요.] 그런데, 그에게 있어 아버지라는 존재는 일종의 환상입니다. 포스의 유대감과 핏줄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베이더의 아버지로서의 자격을 확인할 수 없다는 거죠. 그래서 그는 굳이 아버지를 살해할 필요가 없습니다. 루크는 아버지를 자신과 동일화하지도 않고, 굳이 능가하거나 제거할 필요도 느끼지 못합니다. 그 사실을 깨닫는 순간, 그는 아버지보다 우위에 서게 됩니다.
사실 클래식만 볼 때는 아무 생각이 없었습니다만, 에피 3를 보고난 뒤에는, 베이더가 루크에게 지니는 애정의 종류가 어떤 것인지 생각하게 되더군요. [제길, 스타워즈는 생각할 필요가 없는 영화인데 -_-;; ] 무스타파에서 아나킨이 파드메에게 하는 대사는 정말 의미심장합니다, 저 과거, 머나먼 은하계에서도 친족경영에 연연하는 게 얼마나 위험하고 졸속한 사고방식인지를 보여주는 대사라고나 할까요…….켁. 결국 베이더의 루크에 대한 사랑은, 파드메에 대한 사랑의 연장에 불과합니다. “아들”에 대한 애정이라기보다는 역시 파드메에 대한 애정이 우선하는 거죠. [물론 그 세월 사이에 애정은 희석되기 마련입니다. 먼저 칼을 거둔 것은 루크죠.] 그가 파드메에 대한 애정을 거두고 진정으로 루크의 아버지가 된 순간은 결국 황제를 죽인 이후입니다.
시스로 빠지지 않았더라면, 루크와 레이아가 태어난 뒤, 그 꼬물거리는 작은 생명을 본 뒤에 아나킨은 좋은 아버지가 되었을 겁니다. 하지만 결국 그는 아이들이 태어나는 순간을 겪지 못했죠. 덕분에 한 단계 더 높이 성장하지 못했고, 루크가 자신의 아들이라는 사실을 안 이후에도 여전히 어린애같은 마음으로 루크를 ‘애착’의 대상으로 보았다는 편이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이런 생각이나 하고 있다니, 쿨럭.
친구 베렌군이 그린 네컷 만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