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넷플릭스

“얼터드 카본”(2018)

인간의 정신을 기억저장소에 보관하고 백업할 수 있게 되어, 그게 부서지지 않는 한 육체를 갈아 타며 영원히 살 수 있는 사회.

뭐랄까, 이렇게까지 80년대를 표방해도 되는 걸까
하고 첫 화면부터 의심스러웠던 작품.
그런데 놀랍게도 원작 소설이 2008년 작이었다.
아니 설마…원작도 이런 내용은 아니겠지. 제발 설정만 가져왔다고 말해줘.
안 그러면 너무 슬플 거 같은데.

그런데 보는 내내 “아, 이거 너무 촌스러”라고 생각하면서도
재미있게 봐서 내 감수성 촌스럽구나 하고 좌절하고 말았다.
자라며 보내온 시대가 그렇다 보니 어쩔 수가 없는 걸까 싶기도 하고. 캬캬캬캬캬
여하튼 리들리 스콧이 참 많은 걸 잘못했어. 

매 화마다 벗기기로 계약하고 배우들에게 얼마나 줬을까 하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가 없었으며
[도대체 왜 이런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애들을 거의 강박증에 걸린 것처럼 벗기는 거지. 굳이 문란함을 표현하기 위해 화면으로 보여줄 필요는 전혀 없잖아. 아니면 그정도로 시청자들을 끌어들일 자신이 없는 건가? ]
앞부분은 매우 흥미롭게 보다가
확실히 뒤쪽에서는 실망하는 부분이 늘었는데

나는 이 이야기의 기본 틀이 혁명과 종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건만
그 이야기는 심지어 겉핥기도 하지 않고 지나가고 결국은 너무 개인적인 수준에서 끝나버렸기 때문이다.
다음 시즌을 염두에 둔 기획인건지 어쩐지
여하튼 굉장히 용두사미가 되어 버렸다.

하여간 사상적 주축 없이 사랑에 매달리는 사내자식이란. -_-;;;

하지만 언니 절 가져요!!!!

조엘 킨나만이 그 커다란 정치에 항상 소중히 갖고 다니는 유니콘 가방이 귀여웠어.

“코드걸” (2015)

넷플릭스에서 시청.

전세계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친화적 모바일앱 개발 콘테스트인 “테크노베이션” 을 배경으로
2015년에 참가한 팀들을 따라가는 다큐멘터리.

여러가지 면에서 흥미로웠다.

1. 단순히 코드를 배우고 모바일 앱을 개발하는 팀 작업을 넘어 소녀들에게 ‘사업의 기초’를 가르친다는 점.  다시 말해 여자아이들에게 단순한 너드나 개발자가 되는 것을 넘어 운영가, 사업가가 되는 데 대한 흥미를 자극한다.

2. 실제로 어떤 점에서 이런 콘테스트는 온갖 차별적이고 불공평한 조건들을 넘어서야 하는데, 미국 팀들이 금전적으로, 환경적으로, 사회적으로 훨씬 풍부하고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는 반면 사회적 의미를 지닌 콘테스트이기에 자신들 스스로도 ‘제3세계 경쟁자들’보다 덜 절박해 보이지 않을까 걱정하며 실제로도 그렇다. 사고의 범위 자체가 자신이 살고 있는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건 자명한 사실이고 그들의 의도는 가끔은 무척 순진해보이기조차 하다. ‘주제와 의도’를 우선시할 것인가 앱의 ‘기능’을 우선시할 것인가라는 주체측의 고민과 결말까지도 왠지 빤히 보이는 느낌이고.  

3. 미국 동부의 명문학교 팀은 결승전에 진출한 이후 교장을 만나고, 주지사를 만나고, 사진을 찍고, 어른들 앞에서 성인처럼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고, 학년의 85%가 사용하는 iOS를 기반으로 앱을 만든다. 브라질과 인도 팀은 자신의 언어가 아닌 영어로 앱을 만들고 프레젠테이션을 해야 하고 나이지리아 팀은 내가 모르는 브랜드의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안드로이드 기반의 앱을 만들며 미국 비자 시스템 문제로 마지막 순간이 되어서야 가까스로 대회장에 도착한다.(유창한 영어를 보건대 사실 이들도 나름 상류층일텐데 여자들만 참가할 수 있는 IT 대회라니 사기나 인신매매 같은 게 아니냐고 말하는 부모들도 있고)

4. 소녀들의 도전의 세계를 맛봐야 했는데 내게 인상적으로 남은 것은 도리어 각 세계의 차이점이라니. 그래도 재미있긴 했지만.

“지금부터 무슬림”

친구가 추천해서 넷플릭스에서 보게 된 발리우드 영화.

지금부터 무슬림

냉소적이고 회교도를 싫어하는 힌두교도인으로 자라 왔으나 입양되기 전 자신의 친부모가 회교도였음을 알게 된 주인공이 이리저리 고민하고 치이는 코미디 영화. 사회비판적 내용이 강하고 꽤 진지하기도 하다. 대형 힌두교 사원을 운영하고 거의 신처럼 추앙받는 ‘교주’의 모습은 한국 대형 교회의 행태를 그대로 닮아 있어 거의 익숙할 정도. 역시 이런 건 전세계 공통인가보다.

결국 주인공을 옆집 회교도인 메무드와의 우정도, 가족들도 되찾게 되는 해피엔딩이고, 감화나 교훈적인 내용이 강한데, 그럼에도 꽤 울림이 커서 감탄하면서 봤다. 인도 영화 재미있구나. 게다가 노래나 춤이 예전처럼 뜬금없다는 느낌도 줄었어. 넷플릭스 덕분에 다국적인 컨텐츠에 손을 댈 수 있어 요즘 새로운 것들을 자주 접하고 있다. 다음에는 같은 배우가 나온다는 OMG도 봐야지. 이 배우의 성향이 그런 종교비판적인 쪽인가 보다.

 

 

더크 젠틀리의 전체론적 탐정사무소(넷플릭스)

2시즌 보는 중입니다.

1시즌은 원작과 거의 비슷한 이야기로 흘러갔는데
2시즌은 어디서 왔는지 모르겠네요.
하긴 암울한 티타임은 읽은 지가 너무 오래되어서 잘 기억도 안 나요. ]

정말 정신없지만 다들 귀엽고, 더크는 사랑스럽기까지 하고,
바트와 켄의 이야기도 훌륭하게 맞물리고
계속해서 튀어나오는 아니 저 사람은! 캐스팅도 쏠쏠하고
[저 처음에 저 사람 일라이저 우드랑 똑같이 생겼는데…맞나? 아닌 거 같은데…맞나? 아닌 거 같….을 한 세번은 반복한듯요]
이럴수가 감동적이기까지 하다니.
생각보다 단숨에 달렸습니다.

넷플릭스는 정말 한 번 손대면 빠져나갈 수 없다는 부작용이 있군요.
괜히 하는 말인줄 알았는데.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