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넷플릭스

“월스트리트에 한 방을: 게임스톱 사가”

어렸을 적 아버지에게 왜 그렇게 다큐를 좋아하시냐고 물은 적이 있는데
나이 들고 나니 내가 딱 그짝이다.
시간 여유가 좀 들었을 때 밀린 드라마를 볼 생각이었는데 이상하게도 요즘엔 창작물보다는 다큐멘터리에 먼저 눈길이 가게 된단 말이지.

이 사건이 일어났을 때 트위터에서 실시간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 추이를 목격했기에 넷플 추천 목록에 있길래 잽싸게 클릭했다. 처음엔 소위 네티즌들의 ‘어그로’로 보였고 나중에는 일종의 운동으로 번지는 걸 보면서도 기분이 묘했는데 (일단 큰손 투자가들이 끼어들면서 그마저 성격이 완전히 달라졌으니)
실은 그 전부터 내가 모르는 움직임이 있었음을 처음 알았다.
그래, 아무리 눈덩이처럼 굴러가기 시작한 사태라도 발단이 있었고, 일렁이는 불씨가 없었다면 말이 안 되지.
나도 꼬였는지 다큐에서 “모범적인” 말을 하는 헤지펀드 운용자들이 얼마나 얄미워 보였는지 모른다. 개미 투자가들을 염려해서 하는 말이 아닌, ‘업계를 어지럽힌 데 대한’ 훈계라니.

이 사태로 인하여 로빈후드의 뒷배와 ‘시스템’이 온천하에 까발려진 걸 가장 큰 수확으로 삼아야하지 않을까 싶다. 시스템은 늘 놀라울 정도로 거대하고 교묘하게 숨어 있지.

그치만…..저기, 노래하시는 분들 음. 세상은 참 넓고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있어….

“나이브스 아웃: 글래스 어니언” (2022_

요즘 영상물은 영 땡기지 않아서
– 일단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
한동안 손을 놓고 있었는데 어쩌다 누이 집에서 보기 시작하는 바람에
집에 돌아와서 뒤쪽을 계속 시청.

역시 영국식 추리소설을 보고 자란 나 같은 인간한테
너무 취향 저격이야. ㅠ,ㅠ
1편보다 더 가벼워졌고, 늘 그렇듯 노골적인 풍자가 헛웃음을 짓게 만든다.
다니엘 씨 여전히 어색한데 그래도 1편보단 좀 익숙해졌는지
그 어색함이 조금 자연스러워졌어. 적어도 ‘내가 왜 여기서 이런 일을’ 하는 건 사라졌던데.

솔직히 범인이야 조금 뻔하다고 생각했지만
2부 시작되기 전까지 내막은 상상도 못했어.
너무 고전적이라 즐거운데, 나도 이젠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꼰대가 되었구나 싶기도 하고.

배우도 카메오도 무시무시할 정도라
제2의 소더버그를 꿈꾸십니까, 소리가 나왔다.

그래, 요즘 이렇게 유쾌한 게 고팠다.
필요하기도 하고.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2022)

요즘 영상물에 전혀 손을 안 대고 있는데
(오비완 제외. 아 이것도 글을 쓰긴 해야 하는데.)

몇 개 클립을 보고 궁금해서 시작.
아직 넷플릭스에는 4화까지밖에 안 올라왔다.

아, 사랑스럽네.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서펀트 증후군 캐릭터를 내세운 영화나 드라마가 나름 획기적이었으나
(내가 접한 최초의 작품은 ‘레인맨’이었으니)
그 뒤로 시간이 지나면서 정형화되는 문제가 나타났고,
또한 의학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있어
사람들의 인식이 너무도 빨리 변화하다 보니
한국의 경우 중간의 몇 단계를 뛰어넘게 되어 이리저리 충돌도, 시행착오도 많을 수 밖에 없는데
굉장히 고민을 많이 한 게 보이고,
주변에서도 우려가 많았던 걸로 보이는데 3화의 주제를 통해 정면으로 돌파하는 길을 택했다.
물론 앞으로 더 봐야 알겠지만

“판타지”라는 사실을 감안하더라도
굉장히 온화한 작품을 만들었다.
가끔은 지나치게 ‘온화한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솔직히 내가 한국드라마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이유는
감정과잉인 장면들이 너무 많아서 지치기 때문이기도 하거든.
나는 작가들이 그놈의 고래고래 악지르는 장면과, 펑펑 우는 장면 없이 드라마를 만드는 벌칙이라도 한번 받아봐야 한다고 생각해.

그런 점에서 오히려 기분 좋게 드라마를 보고, 차분하게 생각할 수 있어서 좋았다.
생각 없이 넘어가지 않도록 적어도 한두군데씩은 계속 찔러주고 있고.

몇 가지 걱정되는 부분이 있는데
(출생의 비밀 제발 ㅠㅠ 남자의 부모 제발 ㅠㅠㅠㅠ)
제발 피해주길 바라지만 아무래도 힘들 것 같아
과연 이 게으른 내가 끝까지 보게 될 것인가, 가 궁금하네.

이카로스(2017)

러시아 선수들 도핑에 관한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이미 국가 이름으로 출전하지 못하는 와중에
이번 베이징에서도 피겨에서 또 터진 걸 보고 찾아봤다.

이야기는 사이클링을 하는 감독이 암스트롱의 약물 소식에 놀라
스스로 약물을 투여하고 도핑 검사를 피해갈 수 있는가를 시험하는 걸로 시작되는데,
그 과정에서 러시아 반도핑 연구소 소장의 도움을 받게 되고,
다큐 촬영 도중 소장이 수사 대상이 되면서
미국으로 도피, 러시아 스포츠 선수들의 약물 투여가
러시아 정부 주도로 체계적으로 이뤄졌음을 폭로한다.

저 흐름 자체가 굉장히 놀라웠는데,
다큐멘터리를 촬영하기 위해 인맥으로 연결된 대상이
상당한 거물인 전 러시아 반도핑 연구소 소장이라는 것부터 일단 충격
그리고 후에 미국에서 사실을 폭로 후 목숨의 위험을 느끼는 와중에도
러시아에 있는 가족들과 무사히 화상통화를 할 수 있었다는 것도 상당히 놀라웠다.

한국인으로서 독재에 너무 익숙해진 건가 싶기도 하고.

중반까지 감독이 자신의 몸으로 실험을 하는 부분은 좀 지루함이 있었고
(특히 내가 이 다큐의 내용을 알고 있는 이상)
반면에 후반은 더 자세하게 이야기할 수도 있었을 것 같은데 빠르게 핵심만 짚고 간다.
아마 다른 이유가 있었을지도.
개인적으로 “이렇게 다큐에서 얼굴이 다 공개되는데 증인 보호 프로그램 같은 게 효과가 있나”
하고 생각하는 걸 보니 역시 난 독재에 너무 익숙해진 한국인인 것 같기도 하다.

이미 이런 증거가 다 밝혀졌음에도
국가의 이름은 아니더라도 러시아 협회 이름으로 올림픽에 출전하도록 허가한
IOC에 환멸을 느낄 수 있다.
아마 그렇기에 이번에도 더욱 노골적으로 저질렀겠지.
이 경우엔 선수들이 불쌍하게 생각하기도 어려운 게
처음에는 외부 압력에 의한 것이었을지도 모르나
지금은 그걸 당연하게 여기며 승리의 환희와 결과를 만끽하고 있다는 점에서
참작하기가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