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관물: 바람의 나라

태왕사신기 스페셜

혹시 보신 분 안계십니까?
소문을 듣자하니 배경음악은 반지 OST로 도배하고 공각기동대 음악도 나왔다고 하던데요.

예상대로 평이 극과 극인 듯 하군요.
“때깔 좋고 잼나 보인다”와 “개념을 쌈싸 먹었냐”로.

전 김종학 PD가 “우리 민족의 신화”와 “청소년에게 교육적 효과” 운운만 하지 말아줬으면 좋겠습니다. 정말로 개념을 쌈싸 드셨나. -_-;;;;

근데 워낙 가는 곳마다 평이 갈려서 어느 쪽이 다수인지 구분하기가 참 애매합니다. 결정적으로 전 대중의 취향에 별로 관심도 없고 잘 맞지도 않는 편이라…. ㅠ.ㅠ 그래도 “대체 이게 뭐냐!”라는 평이 꽤 많이 보입니다만.
뭐, 오늘 본방이 나와야 대충 평이 나오려나요.

…………아아

태왕사신기, 배용준을 제외한 나머지 스타들은 악역?

전 말이죠. 이 인간들이 막바지에 대본 수정하고 그런다고 했을 때, 그래봤자 뼈대와 기둥이 같기 때문에 잘못 건드리면 스토리 전체가 무너질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럼에도 일말의 희망을 가져보려고 애썼지요. 어쩌면 일부러라도 피해갈 거라고 말이지요. 한데, 역시 그런 것 따위 아무런 소용도 없군요.

………전략
고구려 최대 권력을 지닌 귀족 연가려로 등장하는 박상원은 화천회와 손잡고 고구려의 왕이 되고자 하는 인물이다. 한차례 뜻이 좌절된 뒤엔 아들 연호개(윤태영)를 왕으로 만들기 위해 갖은 음모로 담덕을 위기에 몰아 넣는다. 연호개 역의 윤태영은 왕위를 놓고 배용준과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라이벌이다.

기하 역의 문소리는 비련의 악녀다. 화천회에 의해 부모를 잃은 뒤 연가려의 보살핌을 받고 자란다. 담덕과 숙명적인 대립 관계지만 그와 사랑에 빠지고 아이를 잉태하게 되면서 흔들리게 된다. 그러나 담덕의 마음이 다른 여인에게 향한 것을 알고는 누구보다 앞장서서 담덕의 앞길을 막으려 한다. 기하가 낳은 아이가 훗날 장수왕이 되는 점에서 담덕과는 끊어지지 않는 운명의 장난에 놓인다.

………후략

+++++

……….누구 태사기의 이 서기하 스토리 읽고 다른 캐릭터 생각나시는 분?

다 좋으니까 제발

태왕사신기 – 드라마 자체에 자신이 없나보네?

totheend님 댁에서 엮어 옵니다.

관련 기사는 이것
제목도 거창한 ‘태왕사신기 김종학 감독, “애국심에 호소합니다”‘[김종학 PD 사진 압박 있으니 주의요]

…..전략

11일 첫 방영되는 ‘태왕사신기’의 제작진은 연출자인 김종학 감독과 함께 6일 오후 MBC 경영센터 회의실에서 1.2부 시사회를 갖고 간담회를 가졌다.

김종학 감독은 “열심히 노력했고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최초의 시도라고 해서 박수받고 싶지는 않다”고 심경을 밝혔다. 대신 김 감독은 “애국심에 호소해서 이 드라마가 한류의 새로운 기폭제가 될 수 있도록 많이 봐주시고 도와달라”고 진심어린 부탁을 했다.

…중략

김감독은 드라마의 제작 의도에 대해 “역대 왕 들중에 유일하게 영토를 확장시킨 왕이 광개토대왕“이라며 “광개토 대왕이 가진 그 능력은 과연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를 생각해보면서 핵심을 풀어나가기 위해 고심했다”고 전했다. 광개토대왕의 가장 큰 매력은 정복자의 이미지 뿐만이 아니라 부드러움을 지닌 카리스마라는 결론을 내렸고 이를 배용준이라는 배우에게서 느낀 점과 캐릭터를 일치시켰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감독은 앞으로 연말에 있을 대선을 염두에 둔듯 “우리에게 광개토 대왕이 가진 지도자의 덕목이 필요하지 않겠나 생각해 봤다”고 언급하기도 해 눈길을 끌었다.

+++

…..다 좋으니까 제발 무식한 티 좀 내지 말아주실래요? 뭐? “역대 왕 들중에 유일하게 영토를 확장시킨 왕이 광개토대왕“?
저런 인간이 “역사를 바로 세우는 사극”을 만들고 싶다고 떠들고 다녔단 말이지? ㅠ.ㅠ “애국심에 호소해서”?? 아니, 잠깐, 이거 인간적으로 조금 너무하는데, 혹시 기자가 고도 안티인가. 그래도 설마 안 한 말을 따옴표까지 붙여가면서 설명하겠어.

참고로 일문일답 다른 기사 김종학 PD “절대 용두사미는 되지 않을 것”

….전략

–CG가 많아 1부가 어렵게 느껴진다.

▲우리의 걱정거리 중 하나다. 이해를 돕기 위해 ‘스페셜’ 방송 시간에 사신과 환웅, 사신과 광개토대왕 등의 관계를 설명하는 시간을 갖는다. 사실 환웅에서 출발해서 단군 주몽 광개토대왕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정극으로 풀 수도 있었다.

하지만 세계 시장에 진출할 때 우리의 정신세계를 풀어보고 싶었다. 유럽이나 중국의 판타지는 잘 알아도 우리는 우리의 신화에 대해서는 한 번도 드라마로 풀어본 적이 없다. 교과서와 동화에서만 가능했던 것을 그림으로 보여주고 싶었다. 손에 잡지 못한 이야기를 쥐어 주고 싶었다.

….후략

+++
그럴 줄 알았소이다. 내용이 이해가 안간다는 건 CG가 아니라 연출과 스토리의 문제지 이 사람아. 왜 이러시나. -_-;;; 그걸 보기도 전에 친절히 설명하고 들어간다라, 아핫. 정말 여러가지 꼼수 쓴다.

게다가 우리의 신화????????? 우리의 신화????? 그나마 사료가 제일 많이 남아있는 광개토대왕에, 여기저기 다른 데서 폼나는 것만 빼다 엮은 짜깁기가 우리의 신화?????????????

저런 헛소리만 안하면 그래도 관심 끊고 넘어가주겠는데, 왜 저렇게 알아서 삽질이지??

아니, 판타지라는 건 아는데….

‘갑옷 입은 배용준’ 첫 공개 !

………….이젠 그냥 체인 메일로 업그레이드?????
판티지가 “사실성”과 아무런 관련도 없다고 생각하는 인간들은 “소설은 거짓말 헛소리” 라고 말하는 것과 똑같은 수준일진대. -_-;;

환웅 좋아한다는 문소리 캐릭터는 털가죽을 걸치고 반쯤 벗고 다니고 [중국 요순시대에 우리가 저런 ‘원시인’이었단 말인가. -_-;;; 고구려는 열대지방이라 차밭도 있는 거였구나. 그래그래, 그래도 이건 “올바른 역사 공부” 시켜준답시며 연도 표기하는 삽질만 안 하면 넘어가준다.]

얼마나 사람들에게 “캐왕사신기”라고 두들겨 맞았으면
‘태왕사신기’ 광개토대왕 비문 서체 재현한 포스터 공개 이렇게 친절하게 설명을 붙여줄까나.


이상, 끝날 무렵도 아니고 인기 탔을 때도 아니고, 본격 방영 전에 미리 “메이킹 필름”을 틀어주며 자기들이 얼마나 대단하고 자기들이 얼마나 고생했으며 자기들이 얼마나 국위선양을 꿈꾸고 있는지 호소하는 동시에 이야기를 보기도 전에 숨겨진 배경지식부터 다 설명하고 시작한다는[스토리가 얼마나 어수선하면 -_-;;;] 전대미문의 드라마 “태왕사신기”에 관한 짤막한 잡담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