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감상

살인자의 진열장

더글러스 프레스턴과 링컨 차일드의 팬더게스트 시리즈 1권.
괜찮다는 추천을 받아서 중고로 시리즈 3권까지 모두 구해왔는데
오컬트가 주요 내용일줄은 몰랐다.
난 순수 추리소설인 줄 알았지. ㅠ.ㅠ

사실 이 두 장르를 접목시킨 건 영상류는 재미있게 봐도 활자로는 즐기지 않는데
이미 다른 누군가의 템포대로 만들어 정해진 시간 내에 눈 앞으로 지나가는 영상과는 달리
소설은 나의 사고가 훨씬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머릿속으로 끊임없이 ‘이게 뭐야’가 말을 걸기 때문이다.

팬더게스트에 대한 묘사는 꽤 흥미롭긴 한데
지금 읽기에는 약간 촌스럽다는 느낌이 있다.
차라리 드라마나 영화라면 나을 것 같고
솔직히 그 쪽을 염두에 둔 시리즈가 아닌가도 생각된다.

내용이 워낙 신비주의 쪽이다 보니
뭐라 서평을 쓰기도 애매해.
처음에는 나름 흥미진진하게 읽어가며 중간에 숨겨진 이야기가 있지 않을까 했는데
어느 순간부터 설마….??? 하던 게 진짜로 맞아 떨어지는 바람에

나머지 두 권은 즐긴다기보다 왠지 숙제를 읽듯이 해치울 것 같다.
실제로 손이 잘 안 가기도 하고.

더크 젠틀리의 전체론적 탐정사무소(넷플릭스)

2시즌 보는 중입니다.

1시즌은 원작과 거의 비슷한 이야기로 흘러갔는데
2시즌은 어디서 왔는지 모르겠네요.
하긴 암울한 티타임은 읽은 지가 너무 오래되어서 잘 기억도 안 나요. ]

정말 정신없지만 다들 귀엽고, 더크는 사랑스럽기까지 하고,
바트와 켄의 이야기도 훌륭하게 맞물리고
계속해서 튀어나오는 아니 저 사람은! 캐스팅도 쏠쏠하고
[저 처음에 저 사람 일라이저 우드랑 똑같이 생겼는데…맞나? 아닌 거 같은데…맞나? 아닌 거 같….을 한 세번은 반복한듯요]
이럴수가 감동적이기까지 하다니.
생각보다 단숨에 달렸습니다.

넷플릭스는 정말 한 번 손대면 빠져나갈 수 없다는 부작용이 있군요.
괜히 하는 말인줄 알았는데. ㅠ.ㅠ

“빌리 진 킹: 세기의 대결”

1973년, 실제로 엄청난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빌리 진 킹과 바비 릭스의 남녀 테니스 대결을 소재로 한 영화. ‘여성은 열등하다’는 기본 전제를 깔고 있는 남성들에게 여성 테니스계가 어떻게 대응했는지 뿐만 아니라 유부녀였던 빌리 진 킹이 동성애자로서 자신을 정립하는 과정을 엮어 넣었다.

빌리 진 뿐만 아니라 다른 한 축을 이루고 있는 바비 릭스도 상당히 정성들여 그려냈으며 동시에 빌리 진의 도덕적 결함까지도 그리고 있어 상당히 균형이 맞다. 두 사람 모두 누군가의 ‘우상’이나 ‘상징’이 아니라 평범한 인간이라는 메시지를 주고 싶었다면 성공한 셈. 

50년 전이다 보니 여성들에 대해 거의 원색적인 언동을 하고 있어 가끔 피가 거꾸로 솟는 경험을 할 수 있는데 바로 그때문에 오히려 현대 차별주의자들의 요지를 금세 파악할 수 있다. 그들의 주장이야말로 그 긴 세월 동안 전혀 전진하지 못했다. 빌리 진 킹이 잭 크레이머에게 하는 말이 그때나 지금이나 정곡을 찌른 핵심.

코미디로 분류되어 있지만 그것이야말로 가장 아이러니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시합 장면이 딱딱하고 지루하다는 평가도 있었는데 내가 테니스가 유행하던 시기를 기억하던 사람이라 그런지 결과를 알고 있는데도 손에 땀을 쥐고 봤다. 라커룸에 혼자 앉아 있던 에마 스톤의 연기가 좋았어. 오롯히 혼자만의 공간에서 터져나온 감정이, 참 좋았다.

덧. 빌리 진 킹 언니 정말 소나무같은 취향을 갖고 있구나.
덧2. 엑스멘2에서 커트 바그너 역할을 했던 앨런 커밍이 나온다.
덧3. 엔딩 타이틀에 바비 릭스의 사진이 나오는데 진심 스티브 카렐 본인인 줄 알았다. 저렇게 닮게 만들 수 있다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