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보관물: 감상

나오미 크리처

1. “고양이 사진 좀 부탁해요”

단편집. 먼저 타이틀 작품인 “고양이 사진 좀 부탁해요”가 너무 사랑스러웠다.
사실 이 작품뿐만 아니라, 한편씩 읽어나갈수록 SF 장르에서는 보기 드물게 전반적으로 작가의 시선이 매우 따뜻하고, 동화적인 데가 있다는 것을 실감한다. 이런 분위기가 너무 오랜만이라 여기 실려 있는 거의 모든 작품이 마음에 들었다. 나도 확실히 나이가 든 모양이지. 스스로 냉소적이고 비판적이면서 이젠 여기서 벗어나고 싶어 하는 걸 보면.

2. “캣피싱”

두 권을 한꺼번에 구입해서 연달아 읽었는데, 아무 생각없이 단편집을 읽은 건 탁월한 선택이었다. 위의 “고양이 사진 좀 부탁해요” 단편을 모티브로 삼은 장편소설이 이 작품이라서. 주인공 스태프의 부모님이 지닌 비밀은 생각보다 훨씬 놀랍고, 아이들의 채팅방은 초기 PC 통신 대화방을 연상케 한다. 개인적으로 낭만적인 시절이었다. 얼굴도 진짜 이름도 모르는, 평생 직접 만날 수는 없겠지만동시에 평생 알던 주변 사람들보다 말과 마음이 잘 맞는 이들에게 새벽에 고민을 털어놓던 순수한 대화방들. 요즘 시대에도 그런 게 과연 가능할까?

AI가 가미된 80년대의 십대 모험 영화를 한 편 본 느낌이다.

악마와의 토크쇼 (2024)

제목만 보고 “악마같은 인간”과의 토크쇼일 줄 알았지
설마 진짜 악마일줄은….

호러영화라는 사실조차 몰랐다.

하지만 토크쇼 형식을 빌린 전개는 매우 흥미진진하고,
중간중간 쉬는 시간에 보여주는 엔터테인먼트 업계와 다양한 인간관계가 매력적이다.
무엇보다 현실에서는 당연히 진실을 밝혀내는 랜디 쪽에 서 있을 내가
영화를 보는 동안에는 ‘빨리 증거 나타나서 저 자식 호되게 당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하고 있어서
그 차이가 무척 즐거웠다.
창작물을 대하는 인간의 심리란.

그동안 워낙 자극적인 것들을 많이 봐서 그런지,
‘오컬트’ 적인 요소는 오히려 약하다.
솔직히 세속에 너무 찌들어서
마지막 장면이 될 때까지 주인공이 아내와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이라는 사실을 믿지 못했어.
아내가 실은 악마의 속삭임을 속살거렸거나
아니면 주인공이 의도적으로 아내를 희생시켰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너무 찌들었다, 역시.

“퇴마록” (2025)

“퇴마록”의 광팬은 아니지만 나름 그 세대 인간으로서
예전에 애니메이션 제작 소식을 듣고 드디어 개봉소식까지 들려왔으니
보러가는 것이 인지상정!
비록 이제는 기본 스토리도 가물가물하지만….ㅠ.ㅠ

그렇다보니 아무래도 처음에는 약간 어색할 수 밖에 없었는데
조금 진행되자 역시 다 잊고 영화 자체로 재미나게 봤다.

솔직히 그림 스타일이(박신부님 말이다, 박신부님) 꽤 마음에 드는데
묘하게 중구난방이라는 느낌이 있다.
기본 베이스는 미국식 캐디 같은데
준후는 한국 아동 만화스럽고, 승희는 디즈니쪽 색채가 있고
아스타로트는 일본 애니 느낌이고 기타등등 기타등등.
이런 근본없는 짬뽕과 스토리가 섞여 있으니 이마저도 한국적이고 또한 퇴마록스럽다고 해야할지.

스토리상 가장 주된 인물이 박신부님이다 보니
정성이 가득 들어간 게 보여서 매우 기쁘도다!
태평양 같은 어깨! 솥뚜껑같은 손!
얼굴과 목의 흉터!! 안경! 안경! 수여염! 수여엄!!!!
오덕들을 잘 아는 디자인 담당이여 찬양받으십쇼!

2편에서는 승희가 좀 나왔으면 좋겠네.
원작 스토리가 있다 보니 이번 편에서 비중이 적은 이유는 알겠지만.

개인적으로 허허자 & 아스타로트 성우분이 좋았다.
박신부님도 찰떡이고.

하지만 난 역시 옛날 사람이라 슬램덩크 때도 그랬고
아마도 3D 기법이 만들어내는 듯한 이 느릿한 움직임이 영 어색해.
프레임 자체가 적은 것 같지는 않은데 근본적인 이유가 뭘까.

제작비 회수해서 2편 나오면 좋겠다.

덧. 퇴마록도 벌써 30년 전 작품이고, 눈마새도 벌써 25년 전 작품인데
그 뒤로 그만큼 대중적으로 이름높은 작품들이 나오질 않네.
팬들의 취향이 너무 파편화된 까닭일까. 

“파벨만스” (2023)

넷플릭스를 통해 관람.

예전에 극장에서 놓친 영화 중 하나.
나도 현대인이 되다 보니 이제 컴퓨터 화면으로 OTT를 통해 영화를 보게 되면
중간중간 몇 번은 멈추곤하는데
놀랍게도 오랜만에 쉼없이 주행했다.

액션 영화도, 추리 영화도 아닌
정말 잔잔하게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것뿐이건만
어떤 시끄러운 영화보다도 몰입해서 볼 수 있다니
대체 스티븐 스필버그의 이 연출력은 어디서 오는 걸까.
지평선을 잡는 법?

이 영화가 또한 ‘영화’에 매료된 자의 이야기이고
나이깨나 먹은 나마저 그 사람이 만든 영화를
첫 장면의 새미처럼 입을 벌리고 홀린 듯이 쳐다보고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점은
정말 감탄스럽지 않은가.

개인적으로 인상깊었던 것 중 하나는
어린 새미가 감독으로서 연기자를 이해하고 다루는 법을 익혀 나가는 과정이었는데
특히 아직 연기가 뭔지도 모르는 어린 감독의 설명에
당사자로서 먼저 본질을 깨닫는 스카우트 소년의 장면이 좋았다.

나는 배우의 연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소 중 하나가 연출자/ 감독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런 생각을 하게 만든 감독이 스필버그였다.
(같은 배우가 그리 길지 않은 시간 차를 두고 출연한 서로 다른 영화에서
마치 다른 배우인 양 수준 차를 보이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지)

어릴 적부터 봤던 스필버그는 특히 정말 드물게
헐리우드 영화에서 아동들의 연기를 끄집어 내는 데 뛰어난 인물이라
영화 속 그런 장면들을 보며
아, 그래, 그랬기에 당신이 할 수 있었던 거군,
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두시간 반이 후딱이었다.

몇년 간 극장에서 많은 영화를 놓쳤는데
이걸 다시 보니 그때 못본 영화들을 다 따라잡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

덧. 주인공 역인 가브리엘이 묘하게 “레디 플레이어 원”의 타이 셰리던을 떠올리게 하는 인상이다.
흐음…… 이거 흥미로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