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아아아,
지난번 글이 두달 전이라 너무하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으아아아, 전 다시 일하러 가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저 대신 맛난 거 많이 드시고 푹 쉬세요, 으아아아아아아아!!!
으아아아,
지난번 글이 두달 전이라 너무하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으아아아, 전 다시 일하러 가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저 대신 맛난 거 많이 드시고 푹 쉬세요, 으아아아아아아아!!!
정신을 차려보니 오늘이 정말 2020년 막날이군요.
작년 이맘 때만 해도 콩쥐 때문에 정신이 하나도 없었고,
그 이후에 코로나가 닥칠 거라곤 상상도 못했는데
벌써 1년이 지나 여기 도달하고 말았네요.
실은 아직도 세상이 어리둥절하고
요즘에는 먹고사니즘에 차여 한참 때에 비하면 정말 무색할 정도로 글도 올리지 않고 있지만
그래도 혹시나 가끔 들러주시는 분들께,
이제껏 거쳐온 생애에서 가장 갑작스러운 특이점을
가장 폭넓은 이들과 함께 공유한 느낌입니다만
이조차도 곧 지나갈 것이며
그 이후에도 못지 않은 변화가 다시 기다리고 있겠지요.
변함없이 내년에 뵙겠습니다.
사법부가 크리스마스 이브에 빅 엿을 세개 연타로 날려주시네.
나가 죽었으면.
그냥 미야베 미유키의 건조한 문체가 읽고 싶었다.
개인적으로 행복한 탐정 시리즈를 좋아하기도 하고. 언제 이렇게 출간됐는지는 깜박 잊고 있었지만.
어릴 적부터 미스터리 쪽을 더 좋아하는 독자로서 일본에서 우리와 달리 추리 장르가 더 발전한 이유가 궁금했는데[시간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한국은 확실히 SF쪽이 더 강하지] 지금 생각해 보면 주민등록제도 때문이 아닐까 싶다. 우리는 전국민이 지문과 얼굴을 정부에 등록하고 그것이 당연시되는 나라고, 트릭도 트릭이지만 작가들 또한 왠지 무의식중에 ‘강한 정부’와 ‘잡힐 것이다’라는 생각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게 아닐까.
동일본 지진 이후라는 시대적 배경이 새로 등장하여 현실감을 주는 동시에, “재벌가 사위”라는 설정은 사라졌지만 “마음 착한 동네 유지 일가”와 “정다운 지역사회”라는 판타지로 대체되었다. 한쪽이 다리를 깊숙이 끌어 당겼다가도 다시 다른 한쪽이 지나치게 빠지는 것을 밀쳐낸다. 물론 저 지역사회 부분은 인간의 악의를 강조하는 데 더할나위 없이 좋은 배경이며, 내게는 역시 다른 창작물로만 접한 저 설정이 일본 독자들에게는 반대로 현실적으로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어제가 없으면 내일도 없다”의 모든 작품이 다루는 사건들이 일본 2채널 스레드에서 본 내용들이라 점이 흥미로웠다. 작품들이 발표된 시기가 지금보다 훨씬 전이니 어쩌면 정말로 이쪽이 먼저일지도. 가끔 지나치게 우울해질 때면 “실은 제가 문제였어요” 같은 에피소드가 등장해 다행이다. 두 권에 실린 단편들 중에서는 “희망장”이 제일 좋았어. 다음 편에는 장인어른이 돌아가시겠지. 아쉽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