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보관물: lukesky

“메이의 새빨간 비밀” (2022)

디즈니 플러스에서 시청.
엔칸토보다 이걸 먼저 손댄 걸 보니 나도 별수 없는 아시아인인 모양이다.

귀엽고, 사랑스럽네. ^^*
정말 막 사춘기에 들어선 ‘착한’ 아이의 일기장을 부드럽게 순화해 놓은 버전으로 보는 것 같다.
메이의 친구들이 귀엽고,
레서팬다는 더 귀엽고,
케이팝이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좀 알겠고,
그리고…이게 뭐라고 절정 부분에서 눈물을 주르륵 흘렸는지 모르겠다, 어후.
점점 더 예쁜 걸 보면 감성적이 되어가는 걸 막을 수가 없다.
정말 나이들었나 봐.

내친 김에 역시 디플에 있는 비하인드 스토리까지 다 봤는데,
각 팀 헤드가 전부 여성이고
감독과 프로덕션 디자이너는 아시안 여성.
그게 참 묘하게도, 서양인들의 자전적 이야기에는 이런 느낌이 들지 않았는데,
동양 여성이 가족을 다룬 자전적 이야기 – 반항이 아니라 통합과 긍정적인 결과를 이야기하는 –
을 보게 되면 어떤 마음으로 이 ‘타협’을 했으며, 선은 어디에 그었을지 궁금해지곤 한다.
실은 이보다도 더 가슴아픈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건 아닐까.
하지만 여기에서 멈춘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단 말이지.
편견인걸까.

그치만 메이 정말 사랑스럽고. ㅠ.ㅠ

이카로스(2017)

러시아 선수들 도핑에 관한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이미 국가 이름으로 출전하지 못하는 와중에
이번 베이징에서도 피겨에서 또 터진 걸 보고 찾아봤다.

이야기는 사이클링을 하는 감독이 암스트롱의 약물 소식에 놀라
스스로 약물을 투여하고 도핑 검사를 피해갈 수 있는가를 시험하는 걸로 시작되는데,
그 과정에서 러시아 반도핑 연구소 소장의 도움을 받게 되고,
다큐 촬영 도중 소장이 수사 대상이 되면서
미국으로 도피, 러시아 스포츠 선수들의 약물 투여가
러시아 정부 주도로 체계적으로 이뤄졌음을 폭로한다.

저 흐름 자체가 굉장히 놀라웠는데,
다큐멘터리를 촬영하기 위해 인맥으로 연결된 대상이
상당한 거물인 전 러시아 반도핑 연구소 소장이라는 것부터 일단 충격
그리고 후에 미국에서 사실을 폭로 후 목숨의 위험을 느끼는 와중에도
러시아에 있는 가족들과 무사히 화상통화를 할 수 있었다는 것도 상당히 놀라웠다.

한국인으로서 독재에 너무 익숙해진 건가 싶기도 하고.

중반까지 감독이 자신의 몸으로 실험을 하는 부분은 좀 지루함이 있었고
(특히 내가 이 다큐의 내용을 알고 있는 이상)
반면에 후반은 더 자세하게 이야기할 수도 있었을 것 같은데 빠르게 핵심만 짚고 간다.
아마 다른 이유가 있었을지도.
개인적으로 “이렇게 다큐에서 얼굴이 다 공개되는데 증인 보호 프로그램 같은 게 효과가 있나”
하고 생각하는 걸 보니 역시 난 독재에 너무 익숙해진 한국인인 것 같기도 하다.

이미 이런 증거가 다 밝혀졌음에도
국가의 이름은 아니더라도 러시아 협회 이름으로 올림픽에 출전하도록 허가한
IOC에 환멸을 느낄 수 있다.
아마 그렇기에 이번에도 더욱 노골적으로 저질렀겠지.
이 경우엔 선수들이 불쌍하게 생각하기도 어려운 게
처음에는 외부 압력에 의한 것이었을지도 모르나
지금은 그걸 당연하게 여기며 승리의 환희와 결과를 만끽하고 있다는 점에서
참작하기가 힘들다.

오마이갓

어차피 결과 안 나오는 거 개표방송 보지 말고
일하자고 앉아 있는데
가슴 떨려서 일이 안되네.
돌겠다. 왜 마감은 내일인 거지